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지구촌 “기름값 무서워”… 석유소비 ‘뚝’

鶴山 徐 仁 2008. 6. 1. 11:18

 

올 들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국제유가 때문에 석유 소비가 줄어드는 조짐이 보이고 있다. 고유가가 석유제품가격의 폭등을 불러오고 경제 침체로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이 이를 견디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더욱이 중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 국가들이 고유가의 부담을 못 이겨 석유보조금의 삭감이나 폐지를 추진하고 있어 당분간 석유 수요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는 다시 국제유가를 끌어내릴 것으로 보여 글로벌 경제에 숨통이 트일 요소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中 등 신흥시장 국가 석유보조금 삭감 추진

29일(현지시간) 국제유가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비교적 큰 폭인 4.41달러가 떨어진 배럴당 126.62달러로 장을 끝냈다. 수급 불안을 이유로 배럴당 130달러대로 복귀한 지 하루만에 120달러대로 주저앉은 것이다.

이는 2주만의 최저 가격이다. 영국 런던 선물거래소(ICE)의 7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3.92달러나 떨어진 배럴당 127.01달러로 거래를 끝냈다.

이날 유가 급락은 고유가에 따른 석유 소비 감소 조짐 외에도 기축통화인 미 달러화가 그동안의 약세 행진에서 벗어나 강세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 소비 감소 조짐은 뚜렷하다. 미에너지부에 따르면 이달 23일까지의 4주간 하루 평균 석유 소비가 2050만배럴로 작년동기보다 0.7% 감소했다. 휘발유 수요도 전년동기보다 5.5% 줄었다.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것은 미국의 1·4분기 경제성장이 예상보다 좋은 성적표를 받은 데 따른 것이다. 미 상무부의 집계에 따르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달 예상치보다 높은 0.9%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미 달러화는 이날 뉴욕 외환시장에서 유로당 1.5495달러까지 치솟았다. 달러화에 대한 엔화환율도 105.8엔대를 기록해 3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전문가들 “유가 30달러 정도 고평가”

전문가들은 지금 국제유가엔 30달러 정도가 고평가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산유국의 고유가정책과 산유국의 정정불안, 헤지펀드 등 투기자본의 상품시장 개입 등 3개부문에서 각각 10달러씩 하락 요소가 있다는 설명이다.

장화탁 동부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유가가 가파르게 오르다 보니 수요반응력이 커지고 있다.”며 “국제유가는 연말까지 배럴당 130달러 전후에서 하향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이영원 푸르덴셜투자증권 전략분석실장은 “미국의 거시경제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석유소비 감소가 추세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며 유가 강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최종찬기자 siinjc@seoul.co.kr

기사일자 : 2008-05-31    12 면

 

鶴山 ;

석유 한방울도 생산되지 않는 우리 나라는 어떤 양상으로 돌아가고 있는 지,

심각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거품경제의 단맛만을 각인하고 있는 세대들이 사회의 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터에

더욱 더 현실을 바로 인식하고 소비가 미덕이라는 사고에서 진작에 벗어나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