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전체 글 73275

[스크랩] [17] 비겁한 아버지 야곱

라반 삼촌의 집을 떠나 야곱은 고향으로 발길을 돌렸다. 야곱은 지난 이십년의 세월을 곱씹어 보았다. 그 옛날 형 에사오의 살기(殺氣)를 피해 고향을 허겁지겁 도망쳐 나오던 일, 그리고 라헬과 레아와의 결혼, 삼촌 라반에게 겪은 사기와 실망 등 이십년의 세월이 눈앞을 스쳐갔다. 고향을 떠나올 때 청년이던 야곱은 이제 중년이 되어 어엿한 가장이 되었다. 지난 이십년의 세월이 마치 곡예를 하는 것같이 느껴졌다. 고향이 가까워 질수록 이십년 동안 묵은 공포가 야곱을 엄습했다. 그 공포는 다름 아닌 형 에사오였다. “형 에사오가 아직도 나를 미워하고 저주하고 있을지도 몰라. 혹시라도 형의 노여움이 가시지 않았으면 나는 죽을지도 모른다….” 사실 고향을 떠날 때 어머니 리브가는 야곱에게 말했었다. “야곱아, 네 형..

Faith - Hymn 2005.08.10

[스크랩] [27] 동족 3천명을 살해한 모세

모세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성공적으로 이끌어냈다.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를 탈출하여 처음 도착한 곳은 광야였다.   어느날 야훼 하느님께서 부르셨다. “모세야, 시나이 산으로 올라오너라.” “왜요?” “내가 나의 백성을 가르치려고 훈계와 계명을 기록한 돌판을 너에게 주겠다.”   모세는 하느님과 이스라엘을 대표해서 계약을 맺었다. 모세는 40일 동안 시나이 산에 머물면서 하느님과 대화를 나누었다. 하느님께서는 친히 쓰신 돌판 두 개를 주셨다. 그런데 광야에 머물던 이스라엘 백성은 산에 올라간 모세가 오랫동안 소식이 없자 술렁거렸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의 형 아론에게 몰려가 간청했다. “앞장서서 우리를 도와줄 신을 만들어 주시오.” 모세가 없어서 아론은 조..

Faith - Hymn 2005.08.10

[스크랩] [37] 자녀교육에 실패한 사무엘

자녀교육엔 실패한 사무엘 이스라엘 역사상에서 빛나는 역할을 수행했던 사무엘은 예언자 중의 예언자라고 할 수 있다. 예언자는 히브리어로 ‘나비(nabi)’ 혹은 ‘로에(roeh)’라 하는데 하느님의 말씀을 대변하는 사람으로서 하느님의 뜻을 인간에게 전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이스라엘은 여호수아가 죽은 후 여러 판관들이 등장해 민족을 이끌었다. 그들 대부분은 무사들이었다. 블레셋 민족의 침공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지고 신앙도 큰 위기를 맞는다. 이스라엘 민족은 그야말로 총체적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사무엘은 하느님의 사람이었다. 그에 의해 신앙이 발전하고 이스라엘은 왕국의 탄생을 맛보게 된다. 이스라엘 민족은 이교도들과의 싸움에서 점점 허약해져가고 블레셋인들에게 성궤까지 빼앗기는 수모를 당했다...

Faith - Hymn 2005.08.10

[스크랩] [38] 불행한 최초의 왕 사울

불행한 최초의 왕, 사울 사무엘은 백성들의 요구에 따라 이스라엘 최초의 왕을 물색했다. 선택된 인물이 사울이었다. 사울은 베냐민 지파의 혈통을 이어받은 사람으로 장사였다.사무엘은 이스라엘 온 지파를 내세우고 제비를 뽑았다. 그 결과 베냐민 지파가 뽑혔고, 다시 베냐민 지파를 놓고 제비를 뽑자 키스의 아들 사울이 왕으로 뽑혔던 것이다.사무엘이 외쳤다.“자, 야훼께서 뽑으신 이를 보아라. 이 나라에는 이만한 인물이 없다.”그러자 온 백성이 “우리 임금 만세!”하고 소리질러 환호했다. 그런데 군중 가운데에는 “어떻게 저 친구가 우리 민족을 구할 수 있겠어!”하며 얕잡아 보고 그를 따르지 않는 자들도 있었다. 사울은 반대자들의 멸시를 모른 체하고 침묵을 지키며 때가 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던 중 사울이 왕으로서 ..

Faith - Hymn 2005.08.10

[스크랩] 클래식이 흐르는 영화 Shine [클래식음악 모음]

Shine... 클래식이 흐르는 영화 감독 : Scott HicksGeoffrey RushJustin BraineLynn RedgraveNoah TaylorArmin Mueller Stahl   1946년 데이빗 헬프갓(David Helfgott)은 호주의 멜버른에서 태어났다. 데이빗의 아버지 피터 헬프갓은 독선적이며 엄격하다. 그는 아들을 피아니스트로 대성시키겠다는 야심을 품고 있다. 하지만 피터가 데이빗을 피아니스트로 성공시키려고 하는 데는 피터 자신의 꿈이 피터의 아버지로 인해 좌절되었다는 보상 심리가 작용한 것이다. '아버지만 없었다면' 그는 지금쯤 바이올리니스트로 명성을 얻었을 것이다. 이런 아버지에게 맺힌 원한은 아들 데이빗에게 또 다른 형식으로 '아버지' 강박 관념을 심어준다. 피터는 자신에..

[스크랩] 예술의 전당 이 추천한 클래식 100곡

예술의 전당 추천 클래식 100곡한곡씩 클릭하여 감상하셔요.Verdi/ Requiem 제2곡-1 Dies Irae C.오르프/ 카르미나 브라나 - 세상의 지배자 운며의 여신 1.(합창) 오 운명의 여신이여W.A .Mozart/ Le Nozze di Figaro -Canzone/Voi che sapete (Cherabino)J.S.Bach arr.Alfred Reed/ 'JESU,Joy Man's Desiring'G.F.Handel, arr.H. Harty'/ Water music suite AllegroG.Puccini/ "O mio babbino caro" da"Gianni Schicchi"G.Donizetti/ Una furtiva lagrima (Elisird'amor)G.Gershwin/ Rhap..

[스크랩] 모짜르트의 예쁜 소나타 - Piano Sonata No.15, C Major K545

Mozart - Piano Sonata No.15, C Major K545오스트리아 작곡가. 잘츠부르크 출생. 18세기 고전파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36년이 채 안되는짧은 생애에 많은 명곡을 남겼다.잘츠부르크대주교 궁정악단의 바이올리니스트(후에 부악장)이며 작곡가로서도 활동한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3남 4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C 장조 소나타는 당초에 모짜르트가 초보자를 위한 소나타 소품이라 묘사했으며 금세기에 그럴싸한 명성을 얻어왔는데 주 테마는1940년대 18세기 응접실이란 제목으로 발표되었으나 원작을 완벽하게 옮기지는 못한 변형이었습니다이 소나타는 1788년 6월 26일 완성되었는데 이 날은 모짜르트에게돈을 상환받을 희망도없이 계속 돈을 빌려준 동료 공제조합원 미카엘 푸취베르크에게 모짜르트가 또 편지..

[스크랩] 비발디 - 12 바이올린협주곡 「라 스트라바간차」Op.4 No.9 (12 Violin Concerto in F major, Op.4 No.9 'La Stravaganza')

12 Violin Concerto in F, Op.4 No.9 'La Stravaganza'비발디 / 12 바이올린협주곡 「라 스트라바간차」Op.4 No.9Antonio Vivaldi, 1678∼1741Rachel Podger, baroque violinArte Dei Suonatori (Baroque Orchestra)1악장 (Allegro) Rachel Podger, baroque violin / Arte Dei Suonatori, Baroque Orchestra2악장 (Largo) Rachel Podger, baroque violin / Arte Dei Suonatori, Baroque Orchestra3악장 (Allegro) Rachel Podger, baroque violin / Arte Dei..

[스크랩] [25] 아우구스티노 신학

신학자요 사목자였던 ‘은총의 박사’ 동방교회가 희랍의 철학적 논리에 근거해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론의 교리논쟁에 몰두해 있던 것과 달리 서방교회는 구원론에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3세기의 치프리아누스와 떼르뚤리아누스 이후 100여년간 뛰어난 학자를 배출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 그리스인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던 형이상학적 사색보다는 실천적이고 신자생활에 직접 관계되는 인간 각자의 구원에 대한 윤리실천문제, 자유의지와 죄, 원죄, 은총과 의화 등이 더욱 관심의 초점이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앙적 경향은 후에 서구의 신학을 특징짓는 요소들이 된다. 서방의 구원론적 논쟁은 4세기에 이르러 엄격한 윤리주의적 이단인 도나투스 이단과 펠라지우스 이단을 불러 일으켰다. 도나투스 이단은 성사의 인효성을 강조해 "그리스도 ..

Faith - Hymn 200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