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드러지게 핀 수련...
순수 우리말 '미르'가 새겨져 있는 용(龍) 대형 백자가 많다.
백자는 호암미술관 소장의 보물 786호 청화백자운룡문병(조선시대)의 모형이라고 한다.
탑 등은 서울 강동구 방이동에 위치한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윗부분에 뚜껑을 더하였고 몸체부분에 구멍을 더 크게 많이 뚫어 놓았는데
'청동용두당간'이다.
'풍기대'라고 하는데 조선시대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재는데 사용되었던
구름무늬를 새긴 8각기둥 위에 높이 세워진 깃발은 당시 대궐 안 그림인
사진 왼쪽 돌기둥은 '수표분수'라고 한다.
비록 모조품이지만 이렇듯 역사적 자료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해주신
새우젖독 의자가 있는 쉼터...
솟 대
모네의 그림 물의 정원에 있는 아치형 다리가 연상되었는데 이곳이 '모네의 정원' 이라고 한다.
클로드 모네의 '일본식 다리(The Japanese Footbridge : 1899)'
이 커다란 수석은 어떤 동물을 닮았을까?...
자성문을 들어서 왼쪽에 있는 비닐하우스 안의 빨레판 모양의 징검다리 길이 멋지다.
세미원(洗美苑) 입구에 세워져 있는 자성문(自省門) 이다.
관수세심(觀水洗心) 관화미심(觀花美心
세미원에 대해 쓰면서 왜 '동산 원(園)' 자를 안 쓰고
광활하고 울창한 숲과 같은 중국정원은 원림(園林)이라 하고,
우리나라의 정원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최대한 살리려는
정염을 불사르는 실잠자리 한쌍...
풀숲에서 우연히 '알락 하늘소'를.....
강변 가는 길...
하루 2,000명만 반드시 '인터넷 관람 예약제'를 실시하고 예약을 받음.
위치 및 연락처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632
031- 775-1834. www.semiwon.or.kr 세미원 관람 유의 사항 :
* 금연 구역이며 쓰레기통이 없습니다.
대중교통 : 서울 청량리에서 2228번, 8번 버스를 이용.
자가운전 : 서울에서 양평 방향 6번 국도→신양수대교 건너자마자 오른쪽 진출 램프→양수리 방향 양 수 리
주말과 공휴일에는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팔당댐 차도를 개방 합니다. 미사리에서 팔당대교를 직진하여 좌회전 하면 됩니다. 팔당댐 위를 서서히 달려 보는 것도 좋겠지요. |
'사진과 映像房'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izen Photo News (0) | 2008.07.30 |
---|---|
중국 석림의 아름다운 풍경 (0) | 2008.07.29 |
우리나라 야생화 (0) | 2008.07.28 |
세상에서 가장 비싼 사진 (0) | 2008.07.28 |
Roberto Carli의 사진작품 (0) | 200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