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공자의 초점 불일치의 사고방식을 하나 더 소개한다. 공자는 자신있게 ‘사람이 도를 넓히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님’을 역설했다. 대단한 인본주의의 신념이다. 그런 그가 은나라 3인의 현자가 비극적 종말을 맞이했음을 침통하게 말했고, 공자의 제자 가운데 가장 덕행이 출중한 안연(顔淵)이 지독한 가난 속에서 요절했고, 염백우(伯牛)는 문둥병에 걸려 괴로움을 당했음을 그는 보았다. 여기서 공자는 비통한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통곡했고, 덕인이 반드시 행운을 받는 것이 아님을 보고 자신만만한 그의 인본주의가 알 수 없는 천도 앞에 좌절하기도 했다. 그의 제자들도 다 한가지 사상으로 수렴되지 않는다. 증삼은 세상을 인의로 세우기 위한 도덕적 사명감으로 가득 찬 인물이었고, 안연과 자공은 스승의 사상을 전혀 다른 스타일로 이었다. 공자는 안연에 대하여 거의 도를 터득했으며 ‘누공(屢空)’했다고 언명했고, 자공에 대하여는 천명을 받지 않았으나 재산을 불렸고 그의 예측은 현실적으로 자주 적중했다고 기술했다. 저 ‘누공’의 개념을 주자학은 ‘경제적으로 가난하여 쌀 궤가 자주 비었다.’는 뜻으로 풀이했고, 양명학은 ‘마음을 허공처럼 자주 비웠다.’고 읽었다.
이것은 공자의 사상 속에 이미 주자학과 양명학의 두 가지 뿌리가 잠재하여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겠다. 공자가 말한 ‘극기복례’(克己復禮=극기하여 예를 회복함)의 의미도 주자학에서는 승기지사(勝己之私=이기심을 이김)로 해석하고, 양명학에서는 진기즉무기(眞己卽無己=참 자기는 자기를 없애는 것)로 읽고 있는 것도 공자사상이 이미 당위사상과 무위사상으로 각각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더구나 자공은 형이상학에는 관심이 없고 현실적 이재능력과 외교능력이 탁월하여 많은 실용적 업적을 낳았으므로 공자도 그를 은나라의 비싼 제기(祭器)인 호련(瑚璉)에 비유할 정도로 귀중하게 여겼다.
이렇게 보면 공자의 도는 쉽게 하나의 개념으로 집약이 잘 안 된다. 공자의 도에는 증삼의 도덕적 당위유학의 흐름이 있고, 안연의 자연적 무위유학의 갈래도 있고, 자공의 실용적 기술유학의 계열도 있다. 전자의 두 가지는 맹자유학에 수렴되고, 후자는 별도로 순자유학으로 이어진다. 공자의 도는 어느 한 곳으로 정의되지 않고 열려 있다. 주자학적 통로인 당위유학으로서만 공자를 읽지 않아야 한다는 나의 생각은 여기에 기원한다. 자극적인 언설을 좋아하는 요사이 사람들은 ‘논어’를 읽으면 너무 싱겁다고 말할는지 모른다. 강력한 메시지도 없고 흔드는 깃발도 없으며 맹물 같은 맛으로 별로 주목이 안 갈 것이다. 그러나 그 맹물 같은 밋밋한 맛이 바로 공자의 도라고 나는 생각한다. 술은 술로서만 쓰이고, 커피는 커피로서만 쓰인다. 그러나 자연수 같은 맹물은 모든 음식 만들기에 다 쓰이는 것이 아닌가? 나는 공자의 도가 그런 맹물 같은 쓰임새를 지녔다고 여긴다. 도가 자연수 같아야 인간의 생각을 흥분시키지 않고 모든 일에 다 적용되는 지혜를 일군다. 그래서 나는 ‘일이관지’한 공자의 도를 ‘중화’(中和)라고 여긴다.‘중화’의 도를 공자는 ‘군자가 천하의 일에 대하여 꼭 그래야 한다는 것도 없고, 절대로 안 된다는 것도 없으며, 의(義)를 따른다.’는 말로써 표현했다. 주희는 이 의를 도덕적 당위로 읽었지만, 나는 반드시 그럴 필요가 없다고 본다. 도덕적 당위는 이미 어떤 선의지적 결의로 무장된 상태를 말하므로 ‘중화’의 참 뜻에 맞지 않다. 더구나 공자는 스스로 ‘절사(絶四=네가지를 끊음)’라고 술회하지 않았던가? ‘무의(無意=자기 멋대로 함이 없음), 무필(無必=반드시 관철하겠다는 결의가 없음), 무고(無固=고집이 없음), 무아(無我=아상이 없음)’가 ‘절사’의 내용이다. 이런 ‘절사’의 인품이 어찌 도덕적 당위의 법을 미리 고집하겠는가?
자연수와 같은 맹물의 도가 곧 ‘중화’다. 위의 ‘절사’는 아중심적 사고가 없고, 불변적 최고를 고집하지 않고,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것을 도로서 간주한다는 사상이 깃들어 있다. 공자의 도는 주어진 시대적 상황에서 최적의 진리를 발견해 내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최고(maximum)는 경직되어 있으나, 최적(optimum)은 아주 유연하다. 시대적 상황에 최적의 진리를 발견하는 것을 맹자는 공자의 정신이라고 불렀고, 그런 정신을 시중(時中)이라고 명명했다. 그렇다. 나는 공자의 ‘일이관지’한 도가 증삼이 지적한 ‘충서’라기보다 오히려 ‘중화’와 같은 ‘시중’이라고 보고싶다. 가장 많이 인구에 회자되는 논어 ‘학이’편의 첫 구절인 ‘배우고 시습(時習)하면 또한 즐겁지 않은가?’(學而時習之 不亦悅乎)에서 ‘시습’은 입시 공부하듯이 ‘때때로 익히면’으로 해석되기보다, 오히려 ‘시중’의 지혜를 공부하기 위하여 ‘자기 시대를 익히면’으로 해석돼야 하지 않겠는가? 도를 탐구하는 이가 어찌 입시 공부하듯이 그런 복습을 즐겁다고 했겠는가? 더구나 ‘논어’의 다른 구절들과 뜻이 다 회통되어야 한다. 공자의 유명한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안다.)’의 구절도 이 ‘學而時習’과 연관되어야 한다. 흔히 ‘온고이지신’을 ‘옛 학문을 익히고 새 학문을 안다.’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가 배우는 모든 학문은 다 옛것이다. 학문의 지식은 다 지나간 것을 정리하는 것이지, 현재진행형의 지식은 이 세상에 없다. 지식은 오래되었건, 근접과거의 것이건 다 지나간 것을 정리하는 것이다. 새 것은 각자가 살고 있는 시대상황이다. 그래서 ‘온고지신’은 옛 지식을 새 시대의 상황에 잘 비추어 어느 것이 새 시대에 최적의 지혜로 적중한지 면밀히 검토하고 숙고해 보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하겠다.
시대에 적중한 최적의 도가 도덕적인지, 실용적인지, 또는 자연적인지 잘 검토해 보는 것이 ‘학이시습’의 의미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것이 ‘절사’의 공자정신과 부합한다.‘시중’은 시대의 적중한 ‘중화’의 정신문화를 생각하는 것이다. 공자의 도는 한가지만을 외곬으로 고집하는 그런 교조적 원리주의가 아니다. 공자의 도는 매우 자유스러운 사유의 유연성을 도의 생명으로 여겼다. 그래서 중세기적 주자학으로 공자를 읽으면, 지금의 시대에는 안 맞는다. 그는 참으로 학문하는 성인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그는 지나간 학문의 지혜와 새로운 시대의 상황을 늘 동시에 사유하는 길이 도를 공부하는 길이라고 여겼던 것으로 보인다. 지나간 학문만 골똘히 공부하고 새 시대를 사유하지 않으면 그 학문은 맹목적이고, 시대를 알기 위하여 부단히 사색하되 경험적 학문의 축적이 없으면 그 사색은 대단히 공허해진다고 ‘논어’에서 공자가 설파했다. 나는 주자학을 넘어서 공자의 유교가 한국정신문화의 교조적 업을 반성하게 하는 데 새로운 자양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공자 안에 적어도 세 가지의 도가 있다고 본다. 조선조는 그 세 가지 중에서 유독 한가지만을 부각시키려고 했던 것 같다. 그 점에서 우리는 편협했고 지금도 그러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