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비교. 통계자료

[6·25 전쟁 61주년] 우리의 주적은 45% “일본” 6·25전쟁 발발연도는 58% “몰라” / 서울신문

鶴山 徐 仁 2011. 6. 26. 14:19

청소년 설문… 안보의식 실종

“6·25전쟁? 들어 봤는데, 언제 일어났죠?”(대전 Y초등학교 6학년생)

“6·25전쟁이 남침이라고요? 북침 아닌가요? 북한이 먼저 침략했으니까.”(서울 D중학교 2학년생)

“우리의 주적은 일본이죠.”(대구 B중학교 1학년생)

“우리 때야 반공 교육 받고 자랐지만, 지금 학생들에게는 공부할 시간까지 빼앗아 가면서 6·25전쟁을 가르칠 필요가 있을까.”(서울 N초등학교 5학년 교사)

25일 6·25전쟁 발발 61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6·25전쟁에 대한 초·중·고생의 안보의식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보교육이 국·영·수 중심의 교육에 밀려 등한시된 탓이 크다는 지적이 교육계에서 나온다.

24일 행정안전부가 지난 4일부터 11일까지 전국 중·고생과 19세 이상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안보의식 설문조사 결과 청소년의 57.6%가 6·25전쟁이 몇 년에 일어났는지를 대답하지 못했다. 2008년 조사 당시 56.8%보다 0.8% 포인트 늘어났다.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됐다는 사실을 모르는 청소년도 51.3%나 됐다. 19~29세의 성인도 절반이 넘는 55.1%가 6·25전쟁이 발발한 연도를 몰랐다.

한국청소년미래리더연합이 최근 전국 400여개 중·고생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보관 설문조사에서 “우리의 주적은 누구?”라는 질문에 학생들은 일본(44.5%)을 첫째로 꼽았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으로 인한 영향 때문이라는 게 교육계 관계자의 분석이다. 다음으로 북한(22.1%), 미국(19.9%), 중국(12.8%)이 그 뒤를 이었다.

경남 남해 미조초교 이상제(57) 교장은 “지역 교육청이 안보교육 관련 공문과 교육자료를 일선 학교에 보내고 있지만, 젊은 교사들의 안보의식이 상당히 약화돼 있는 데다 학력 신장 위주의 교육에 혈안이 돼 있어 안보교육이 뒷전이 된 게 문제”라면서 “학생들의 안보의식 함양을 위해 6·25전쟁 경과 등을 역사 교육의 일환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1-06-25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