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목(碑木) / 작사 : 한명희
/ 작곡
: 장일남
초연이 쓸고간 깊은계곡 깊은 계곡 양지녁에 비바람 긴세월로 이름모를 이름모를 비목이여 먼고향 초동친구 두고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되어 맺혔네
궁노루 산울림 달빛타고 달빛타고 흐르는 밤 홀로선 적막감에 울어지친 울어지친
비목이여 그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달퍼 서러움 알알이 돌이 되어 쌓였네
비목의 작사자인 韓明熙교수는 1939년 충북 중원 출생으로 충주고를 거쳐 서울음대 국악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TBC 프로듀서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시립대 음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명희 교수는 ROTC 육군 소위로 임관되어 수색중대 DMZ의 초소장으로
화천 북방의 백암산 즉, 평화의 댐을 지나 북한강을 한참 거슬러 올라가면 또하나의 지류인 금성천이 합류하는 지점이 있는데 이 일대의 고지들에서
군생활을 했다. 이곳백암산 주변이 바로 비목이 잉태된 온상이다. 그래서 평화의 댐 옆에 비목 노래비가 서 있다.
한명희 교수는
1987년『신동아』6월호에 비목이 만들어지게 된 자신의 군 복무지였던 백암산 주변의 분위기와 가사를 쓰게된 경위를 「이름모를 碑木이여」라는
제목의 글에서 밝혔는데 다음은 이를 대강 요약한 것이다.
우선 비목적 분위기를 보다 선명히 짐작해 보기 위해서는 그곳의 사시정경을
좀더 부연해 볼 필요가 있겠다. 봄이면 초록빛 등고선이 하루가 다르게 성큼성큼 산마루로 솟아오르고 가을이면 분홍빛 단풍의 물결들이 하루가
뒤질세라 갯벌까지 뛰어내리던 백암산 일대의 사철. 그 속에서 낙원인 양 무리지어 뛰노는 멧돼지와 노루들의 생태란 또 얼마나 인상적이었던가.
따스한 양광 속에 산간의 정적을 깨뜨리던 방정맞은 꿩소리는 그 얼마나 춘흥에 겨웠으며 북한강변 백사장에 내려와 물 한모금 마시고는 구름 한점
없는 창공을 응시하며 먼 태고의 전설을 얽어내던 숫노루의 모습은 또 얼마나 의젓했던가. ……
표고가 높은 산봉우리만이 마치
바다속의 섬처럼 군데군데 떠있는 새벽녘의 자욱한 구름바다는 얼마나 장관이었으며 금성천 갈대밭에 물드는 저녁노을은 또 얼마나 애상적이었던가.
월동식을 비축하고 사는 고지의 설경은 어떠했고 비바랍 몰아치는 산정의 위세는 또한 어떠했던가. 이 모두가 인적없는 산속에서 자연 혼자만이
빚어내는 조화이기에 더욱 절묘했고 더더욱 절절하게 여져지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감동적인 환경속에서 우리는 참으로 많은 정감을
체험했고 참으로 많은 섭리를 터득했으며 참으로 많은 역리를 앓아보기도 했다. 우리 대원들은 모두가 인적없는 무주공산에서 나름대로 인생을 반추해
가던 젊디 젊은 감성체들이었다. 특히 문리대 철학과를 졸업한 박소위는 나 못지않게 다감했던 터라 우리는 곧잘 같은 정황에 공통된 반응을 보이곤
했었다.
그러나 당시 전방 상황이란 제법 삼엄하고 여간 긴장되지가 않았었다. 그 당시만 해도 남북을 가르는 경계선이란 고작
잡초속에 나뒹구는 녹슬은 군사분계선의 철조망 한가닥뿐이었다. 그래서 호전적인 저들은 무시로 분계선을 넘어와 도발한다던가 심지어 이쪽 장교를
업어가고 목까지 잘라가던 시절이었다. 그곳엔 늘 육중한 긴장과 짜릿한 흥분이 맴돌고 있었다. 여하튼 지금와 생각해도 비목의 배경은 이같은 전쟁의
여운과 강원도 산골의 아름다운 자연이 모태가 되었음에 틀림없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서 비목은 전쟁의 잔해를 아버지로 하고 북한강 상류 백암산
주변의 남다른 정취를 어머니로 해서 태어난 한 세대의 시대적 산물이자 우리네 전쟁사를 일깨워주는 하나의 상징물이라고 해도 과히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비목의 정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백암산이나 북한강 일대의 산야가 6.25 당시 대단한 격전지였음을 상기해 둘
필요가 있겠다. 특히 금성천변의 확트인 개활지를 경계로 해서 이쪽의 백암산과 대성산, 저켠의 김일성 고지나 오성산이 딱 버티고 있는 지형적
조건으로 보나 혹은 파로호의 구만리 발전소를 쟁취하려는 피아간의 군사적 전략으로 보나 그야말로 '전우의 시체를 넘고 넘는' 격전지가 아닐 수
없었다.
막사주변의 빈터에 호박이나 야채를 심을 양으로 조금만 삽질을 하면 여기 저기서 뼈가 나오고 해골이 나왔으며 땔감을 위해서
톱질을 하면 간간히 톱날이 망가지며 파편이 나왔다. 그런가 하면 순찰삼아 돌아보는 계곡이며 능선에는 군데군데 썩어빠진 화이버며 탄띠 조각이며
녹슬은 철모 등이 나딩굴고 있었다. 실로 몇개 사단의 하고 많은 젊음이 죽어갔다는 기막힌 퉎전의 현장을 똑똑히 목도한 셈이었다. 그후 어느날
나는 그 격전의 능선에서 개머리판은 거의 썩어가고 총열만 생생한 카빈총 한 자루를 주워왔다. 그러고는 깨끗이 손질하여 옆에 두곤 곧잘 그
주인공에 대해서 가없는 공상을 이어가기도 했다. 전쟁 당시 M1 소총이 아닌 카빈의 주인공이면 물론 소대장에 계급은 소위렸다. 그렇다면 영락없이
나같은 20대 한창 나이의 초급장교로 산화한 것이다. 일체가 뜬 구름이요, 일체가 무상이다. 처음 비목을 발표할 때는 가사의 생경성과 그
사춘기적 무드의 치기가 부끄러워서 「한일무」라는 가명을 썼었는데 여기 一無라는 이름은 바로 이때 응결된 심상이었다.
이렇게 왕년의
격전지에서 젊은 비애를 앓아가던 어느날, 초가을의 따스한 석양이 산록의 빠알간 단풍의 물결에 부서지고 찌르르르 산간의 정적이 고막에 환청을
일으키던 어느 한적한 해질녘, 나는 어느 잡초 우거진 산모퉁이를 돌아 양지바른 산모퉁이를 지나며 문득 흙에 깔린 돌무더기 하나를 만날 수
있었다. 필경 사람의 손길이 간 듯한 흔적으로보나 푸르칙칙한 이끼로 세월의 녹이 쌓이고 팻말인 듯 나딩구는 썩은 나무등걸 등으로 보아 그것은
결코 예사로운 돌들이 아니었다.
그렇다. 그것은 결코 절로 쌓인 돌이 아니라 뜨거운 전우애가 감싸준 무명용사의 유택이었음에
틀림없다. 어쩌면 그 카빈총의 주인공, 자랑스런 육군 소위의 계급장이 번쩍이던 그 꿈많던 젊은 장교의 마지막 증언장이었음에 틀림없다. 이제
이야기가 여기쯤 다다르고 그때 그시절의 비장했던 정감이 이쯤 설명되고 보면 비목 같은 간단한 노래가사 하나쯤은 절로 엮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감성적 개연성을 십분 수긍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시정이 남달라서도 아니요, 오직 순수하고 티없는 정서의 소유자였다면 누구나가 그같은 가사
하나쯤은 절로 빚어내고 절로 읊어냈음에 틀림없었을 것이 그때 그곳의 숨김없는 정황이었다.
그후 세월의 밀물은 2년 가까이 정들었던
그 능선, 그 계곡에서 나를 밀어내고 속절없이 도회적인 세속에 부평초처럼 표류하게 했지만 나의 뇌리, 나의 정서의 텃밭에는 늘 그곳의 정감,
그곳의 환영이 걷힐 날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내가 TBC 음악부 PD로 근무하면서 우리 가곡에 의도적으로 관심을 쏟던 의분의 시절, 그때
나는 방송일로 자주 만나는 작곡가 장일남으로부터 신작가곡을 위한 가사 몇편을 의뢰받았다.
바로 그때 제일 먼저 내 머리속에
스치고간 영상이 다름아닌 그 첩첩산골의 이끼덮인 돌무덤과 그옆을 지켜섰던 새하연 산목련이었다. 나는 이내 화약냄새가 쓸고간 그 깊은 계곡
양지녘의 이름모를 돌무덤을 포연에 산화한 무명용사로, 그리고 비바람 긴세월 동안 한결같이 그 무덤가를 지켜주고 있는 그 새하얀 산목련을
주인공따라 순절한 연인으로 상정하고 사실적인 어휘들을 문맥대로 엮어갔다. 당시의 단편적인 정감들을 내 본연의 감수성으로 꿰어보는 작업이기에 아주
수월하게 엮어갔다.
초연이 쓸고간 깊은 계곡 양지녘에 비바람 긴세월로 이름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친구
두고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되어 맺혔네
궁노루 산울림 달빛타고 흐르는 밤 홀로선 적막감에 울어지친 비목이여
그 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봮어 서러움 알알이 돌이되어 쌓였네
이렇게 해서 비목은 탄생되고 널리 회자되기게
이르렀다. 오묘한 조화인양 유독 그곳 격전지에 널리 자생하여 고적한 무덤가를 지켜주던 그 소복한 연인 산목련의 사연은 잊혀진 채 용사의 무덤을
그려본 비목만은 그야말로 공전의 히트를 한 셈이며 지금도 꾸준히 불려지고 있다.
비목에 얽힌 일화도 한두가지가 아닌데, 가사의 첫
단어어인 「초연」은 화약연기를 뜻하는 硝煙인데, 「초연하다」 즉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오불관언의 뜻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한때는
碑木이라는 말 자체가 사전에 없는 말이고 해서 牌木의 잘못일 것이라는 어느 국어학자의 토막글도 있었고, 비목을 노래하던 원로급 소프라노가
「궁노루산」이 어디 있느냐고 묻기도 한 일이 있었다.
궁노루에 대해서 언급하면, 비무장지대 인근은 그야말로 날짐승, 길짐승의
낙원이다. 한번은 대원들과 함께 순찰길에서 궁노루 즉, 사향노루를 한마리 잡아왔다. 정말 향기가 대단하여 새끼 염소만한 궁노루 한마리를 잡았는데
온통 내무반 전체가 향기로 진동을 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것이 아니고 그날부터 홀로 남은 짝인 암놈이 매일 밤을 울어대는 것이었다. 덩치나 좀
큰 짐승이 울면 또 모르되 이것은 똑 발바리 애완용 같은 가녀로운 체구에 목멘 듯 캥캥거리며 그토록 애타게 울어대니 정말 며칠 밤을 그 잔인했던
살상의 회한에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더구나 수정처럼 맑은 산간계곡에 소복한 내 누님 같은 새하얀 달빛이 쏟아지는 밤이면 그놈도 울고 나도
울고 온 산천이 오열했다. 「궁노루 산울림 달빛타고 흐르는 밤」이란 가사의 뒤안길에는 이같은 단장의 비감이 서려 있는 것이다.
6월이면 반도의 산하는 비목의 물결로 여울질 것이다. 그러나 우직한 촌놈기질에 휴가나와 명동을 걸어보며 눈물짓던 그 턱없는
순수함을 모르는 영악한 이웃, 숱한 젊음의 희생위에 호사를 누리면서 순전히 자기탓으로 돌려대는 한심스런 이웃 양반. 이들의 입장에서는 비목을
부르지 말아다오. 시퍼런 비수는커녕 어이없는 우격다짐 말 한마디에도 소신마저 못펴보는 무기력한 인텔리겐차, 말로만 정의, 양심, 법을 되뇌이는
가증스런 말팔이꾼들. 더더욱 그같은 입장에서는 비목을 부르지 말아다오.
풀벌레 울어예는 외로운 골짜기의 이름없는 비목의 서러움을
모르는 사람, 고향땅 파도소리가 서러워 차라리 산화한 낭군의 무덤가에 외로운 망부석이 된 백목련의 통한을 외면하는 사람, 짙푸른 6월의 산하에
비통이 흐르고 아직도 전장의 폐허속에서 젊음을 불사른 한많은 백골들이 긴밤을 오열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사람들, 겉으로는
호국영령을 외쳐대면서도 속으로는 사리사욕에만 눈이 먼 가련한 사람. 아니 국립묘지의 묘비를 얼싸안고 통곡하는 혈육의 정을 모르는 비정한 사람,
숱한 전장의 고혼들이 지켜낸 착하디 착한 이웃들을 사복처럼 학대하는 모질디 모진 사람, 숱한 젊음의 희생아닌 것이 없는 순연한 청춘들의 부토위에
살면서도 아직껏 호국의 영령앞에 민주요, 정의요, 평화의 깃발 한번 바쳐보지 못한 저주받을 못난 이웃들이여, 제발 그대만은 비목을 부르지
말아다오. 죽은 놈만 억울하다고 포연에 휩싸여간 젊은 영령들이 진노하기 전에!
- 오픈백과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