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6.16
💬 한국의 '에이징 커브'가 꺾인다...50년 뒤 미래는?
안녕하세요. 매주 찾아오는 레터지기입니다🙌
"0.78".
지난해 한국이 기록한 합계출산율입니다. 한 여성이 가임기간 중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합니다. 한국은 1970년부터 관련 통계를 작성했는데, 0.78은 역대 최저치입니다. 또 한국보다 아이를 낳지 않는 국가는 OECD 회원국 중에서 10년 동안 없었습니다. 우리가 꼴찌라는 이야기입니다.
합계출산율이 1을 넘지 못하니 인구감소는 필연적입니다. 전체 인구 수가 감소하는 동안 신생아는 적으니 자연스레 고령인구 비중은 빠르게 늘어날 테지요. 정부는 2007년부터 막대한 예산(280조원)을 들여 출산을 장려했습니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감소하는 신생아 수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실효성 없는 저출산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앞으로 한국은 고점을 찍고 포물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에이징 커브(Aging Curve) 모양처럼 쪼그라드는 인구 그래프를 그리게 될 겁니다. 여기에 더 심각한 미래가 추가될 것이라는 소식이 16일 발표됐습니다.
합계출산율이 1을 넘지 못하니 인구감소는 필연적입니다. 전체 인구 수가 감소하는 동안 신생아는 적으니 자연스레 고령인구 비중은 빠르게 늘어날 테지요. 정부는 2007년부터 막대한 예산(280조원)을 들여 출산을 장려했습니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감소하는 신생아 수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실효성 없는 저출산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앞으로 한국은 고점을 찍고 포물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에이징 커브(Aging Curve) 모양처럼 쪼그라드는 인구 그래프를 그리게 될 겁니다. 여기에 더 심각한 미래가 추가될 것이라는 소식이 16일 발표됐습니다.
"30.7%".
통계청은 2070년이 되면 한국 인구의 30%는 75세 이상의 노인이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7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이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국가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통계청은 올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로 예측합니다. 75세 이상은 7.7%로 65~74세 비중보다 적습니다. 고령사회의 대표격인 일본(17%)이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이탈리아(12.7%) △영국(9.6%) 등이 뒤를 잇습니다. 그런데 앞으로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점점 늘어나면서 2037년이 되면 16%가 되며 65~74세 비중(15.9%)에 근접해질 것이라고 합니다. 이 때가 되면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32%에 육박합니다. 인구의 1/3 가량이 생산가능연령(15~64세)에서 벗어나는 셈입니다.
50여년 뒤인 2070년이 되면 어떨까요? 75세 이상 인구비중은 30.7%까지 치솟습니다.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46.4%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30.7%는 같은 시기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보다도 월등히 높은 비중입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도 고령인구 상승폭이 가장 큰 국가가 바로 한국이라는 겁니다.
시간이 갈수록 불어나는 은퇴세대. 75세 이상 인구의 43%는 연금과 퇴직급여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은퇴 이후의 삶은 경영과도 같습니다. 문제는 그 경영이라는 것이 정말 녹록지 않다는 점입니다.
2021년 기준 평균 생활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고 생각하는 75세 이상 가구의 비율은 63.8%로 집계됐습니다. 65세~74세 구간은 59.3%가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65세 이상 인구 중 10명 중 6명은 생활비에 비해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인구 또한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기준 65~74세 인구 중 60%와 75~79세 인구의 39.4%가 근로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두 그룹은 각각 11.9%, 11.8%포인트 늘었습니다. 가장 많은 이유로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를 들었습니다. '삶에 활력을 주고 싶어서' 같은 이유가 다수였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한국이 확정된 미래로 끌려가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습니다. 그 과정까지 포함해서요.
그럼 이번 주 레터, 출발합니다🚂
📰 이번 주 독자들이 좋아했던 조선닷컴 TOP5 뉴스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2억으로 은퇴해도 불안하지 않네”... 60대 남성 자산수명 계산해보니
'노후 자금'이라고 하면 막연히 불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100세 시대라고 하는데 모자라면 어떡하지, 자식한테 손 벌리지 않고 살 만큼 충분할까?”하고 걱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은 노후 준비가 부실하다고 생각하며 인생 후반전을 암담하게 여기고 있다. 인생 후반기는 수중에 돈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진다.
'노후 자금'이라고 하면 막연히 불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100세 시대라고 하는데 모자라면 어떡하지, 자식한테 손 벌리지 않고 살 만큼 충분할까?”하고 걱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은 노후 준비가 부실하다고 생각하며 인생 후반전을 암담하게 여기고 있다. 인생 후반기는 수중에 돈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진다.
하자, 주자, 배우자... 한국 100세 연구석학이 만든 ‘장수 3강 8조’
박상철 전남대 연구석좌 교수는 한국 100세인 연구 창시자이자 장수 의학 석학이다.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에서 27년간 세포 노화 연구에 매진하다, 2000년대 초반 고령사회연구소를 통해 100세인 연구에 뛰어들었다. 박 교수는 최근 한국인 특성을 감안한 장수 수칙 3강 8조를 만들었다.
박상철 전남대 연구석좌 교수는 한국 100세인 연구 창시자이자 장수 의학 석학이다.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에서 27년간 세포 노화 연구에 매진하다, 2000년대 초반 고령사회연구소를 통해 100세인 연구에 뛰어들었다. 박 교수는 최근 한국인 특성을 감안한 장수 수칙 3강 8조를 만들었다.
“일본갈 때 금반지·금목걸이는 두고 가세요” 외교부 공지, 왜?
일본 입국 시 착용하고 있던 금제품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여행객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관세 당국이 귀금속 밀수 대책 강화를 위해 금 또는 금제품 반입에 대한 심사를 엄격히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부도 “평소 착용하던 고가의 금제품은 한국에 보관하고 가시길 권한다”고 공지했다.
일본 입국 시 착용하고 있던 금제품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여행객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관세 당국이 귀금속 밀수 대책 강화를 위해 금 또는 금제품 반입에 대한 심사를 엄격히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부도 “평소 착용하던 고가의 금제품은 한국에 보관하고 가시길 권한다”고 공지했다.
[태평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퇴임 대통령’
문재인 전 대통령은 스스로 선정을 베푼 착한 권력자라고 생각한다. 측근들은 “국민들이 고맙다고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하지만 5년간 나라 경제는 망가지고 안보는 위태로웠다. 문 전 대통령은 “잊힌 삶을 살겠다”고 했다. “정치를 떠나겠다”더니 현실 정치에 먼저 뛰어들었다. 역대 어느 전직 대통령도, 왕조시대 상왕조차 퇴임 후 이런 권력은 맛보지 못했을 것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스스로 선정을 베푼 착한 권력자라고 생각한다. 측근들은 “국민들이 고맙다고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하지만 5년간 나라 경제는 망가지고 안보는 위태로웠다. 문 전 대통령은 “잊힌 삶을 살겠다”고 했다. “정치를 떠나겠다”더니 현실 정치에 먼저 뛰어들었다. 역대 어느 전직 대통령도, 왕조시대 상왕조차 퇴임 후 이런 권력은 맛보지 못했을 것이다.
3000억 들여 2조 번다… ‘돈잔치’ 만든 文정부 태양광 사업 민낯
감사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감사 결과에서 가장 경악스러운 비리 행태는 ‘안면도 태양광 사업’이었다. 문재인 정부 태양광 정책의 난맥상이 이 사업에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자본금 10억원, 공사비 3000억원을 들여 연간 1000억원씩, 20년 이상 최소 2조원을 벌게 하는 사업이 가능했던 근거다.
감사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감사 결과에서 가장 경악스러운 비리 행태는 ‘안면도 태양광 사업’이었다. 문재인 정부 태양광 정책의 난맥상이 이 사업에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자본금 10억원, 공사비 3000억원을 들여 연간 1000억원씩, 20년 이상 최소 2조원을 벌게 하는 사업이 가능했던 근거다.
'一般的인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방송] 24시간 현장을 전합니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0) | 2023.06.17 |
---|---|
[VOA 뉴스 투데이] 2023년 6월 17일 (0) | 2023.06.17 |
[생방송] 24시간 현장을 전합니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0) | 2023.06.16 |
[VOA 뉴스 투데이] 2023년 6월 16일 (0) | 2023.06.16 |
[VOA 뉴스 투데이] 2023년 6월 15일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