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마지막 황실, 대한제국' 사 진전.
-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
.jpg)
일본으로 떠나는 덕혜옹주(1925년3월28일 촬영)
.jpg)
고종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伊藤博文과
조동윤 남작(1919년2월9일 촬영)
.jpg)
삼전에 참배하기 위해 영친왕과 함녕전을나서는 고종의 모습
(1918년1월15일 촬영)
.jpg)
덕수궁 석조전 앞 기념촬영.
1918년 1월 23일 오후 2시경 영친왕의 귀국을
기념하여 촬영된 사진으로 당시 고종을 비롯한각계
인사들을 모두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총독부 관료들과 일본 軍警 고위층들이
참가, 총 3장의 기념 사진을 찍었다.
당시 조선을 지배하던 일본 인물들의면면을 보여준다
.jpg)
도자기에 휘호하는 영친왕
.jpg)
사진기로 창경원 하마를 촬영 하는 영친왕
.jpg)
수업을 마친 덕혜옹주가 교문 을 나와
마차에 오르려 하는 모습을 찍었다.
.jpg)
고종의 막내딸로 비운의 일생을 보낸 덕혜옹주가
뒤에 교사들과 수행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수업 광경을
연출한 것으로 보인다.1925년 3월강제유학을 떠나기 직전 찍은
사진인듯.정중앙에 있는 흰 얼굴의 앳된 소녀가 덕혜옹주다.
쓰여진‘국어’란 명칭은 일본어를 뜻한다.
.jpg)
군복차림의 영친왕이 1918년 1월25일 경성유치원을 방문한 모습.
(1918년 1월25일 촬영)
.jpg)
영친왕이 조선 방문을 마치고 당시 남대문역
연미복 입은 수행원들과 함께 거수경례하며
플랫폼을 걷고 있다.(1918년 1월26일)
.jpg)
1919년 2월 9일 고종 황제가 승하한 창덕궁함녕전에서
일본왕가 장례의식인 봉고제(장례를 하늘에 알리는 의식)가열렸다.
함녕전에 차려진 일본 신사풍의 제단 앞에서
황실유족과 일본 제관들이 의식을 치르는장면이다.
.jpg)
이승만 대통령이 그의 저서 '독립정신'(1910)에서
.jpg)
.jpg)
주한 이탈리아 공사 카를로 로제티의 '꼬레아
꼬레아니'(1904), 우리나라에 왔던
- 호머 헐버트씨 는 1906년 발간된
(오른쪽)독일 출신 작가의 사진첩에서 나온 것.
그러나 이미 1890년대 초반 발간된 미국
.jpg)
위 왼쪽 사진 ; 고종, 순종,
오른쪽 ;독일어로 ‘Palastdame’(궁녀),
영어로 ‘ Attendant on The King of
오른쪽은 중국풍 복식 차림의 대원군 ,
.jpg)
상중의 이건 연미복 입은 고종 황제
.jpg)
영녕전 참배 의식중인 영친왕
.jpg)
경성 일출심상 소학교 시절의 덕혜옹주
.jpg)
송별회장에 전시된 덕혜옹주의 작품으로,
.jpg)
덕혜옹주와 선생, 동급생들의 기념사진
.jpg)
홍릉 입구의 홍살문 - 홍릉에 배치된 3조의
.jpg)
융희황제(순종) 장레식 (국상),
.jpg)
융희황제(순종) 장레식 (국상),
인산습의 광경을 카메라에 담고 있다
.jpg)
금곡으로 향하는 인산 행렬
.jpg)
창경궁 인정전
이번 전시회에 나온 사진들은 1910년
.jpg)
황실 가족사진- 고종을 중심으로 순종과 순정효황후,
영친왕, 덕혜옹주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jpg)
석조전 오찬에 나아가는 고종 -
.jpg)
배에서 내리는 영친왕
.jpg)
총독 관저 내부로 들어어가는 영친왕
영친 왕이 윤덕영 자작(오른쪽)과 총독부관리들의
.jpg)
남대문에 도착한 영친왕
1918년 1월13일 오후 9시경 남대문역에 도착한
.jpg)
운현궁 양관
.jpg)
덕수궁 석조전
의해 1900년말 착공, 1910년 6월 완성되었다.
.jpg)
창덕궁 상궁들과 기모노 복장의 일본 여인
한국사진계 선각자인 백오 이해선(1905-1983)선생
.jpg)
이방자 여사와 함께 받은 덕혜옹주의 생일상
구한말 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희귀 사진 발견.
.jpg)
오열하는 궁녀들
- 조선 마지막 순종효황후 윤씨의 승하일
.jpg)
구한말 기록된 비운의 왕족
영친왕, 순종, 고종, 귀비엄씨,덕혜옹주(左부터)
.jpg)
구한말 황족 한자리에
- 왼쪽부터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 윤황후, 순종,
.jpg)
대원군의 62세 생일 기념
- 이 사진은 1882 년 8월 한성관무처에서
.jpg)
천천히 계단을 올라가 처음 마주친 것은
.jpg)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 "일명을 겨우 보존한 짐은 병합 인준의 사건을
오직 나를 유폐하고 나를 협제하여
나 구차히 살며 죽지 않은 지가 지금에 17년이라.
종사의 죄인이 되고 2천만 생민의 죄인이 되었으니,
한 목숨이 꺼지지 않는 한 잠시도 잊을 수 없는지라,
유인에곤하여 말할 자유가 없이 금일에까지 이르렀으니…."
.jpg)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 1926년 4 월25일(음3월14일) 오전 6시 15분,
1907년(광무11년) 7월19일(음6월10일)
.jpg)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일제는 한일신협약(정미7조약)을 강제로
.jpg)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순종의 인산일 일어난 6·10만세 운동
고종과 순종은 여러 차례 독살설에 휘말린다
1875년 왕세자로 책봉된다.
고종이 숨을 거둔 1919년, 일제에 의해 독살
.jpg)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황제는 가고 무덤가는 적막하다
순정효황후는 최후까�
'想像나래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0년대 대한민국의 자화상 (0) | 2014.01.25 |
---|---|
DMZ 60주년 기념 기록전 (0) | 2014.01.04 |
추억 속으로 사라진 초가삼칸 (0) | 2014.01.01 |
옛 시절 옛 사진 (0) | 2013.12.30 |
[스크랩] 경주 유적지의 옛 모습들 (0) | 201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