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 주세페 베르디 (Giuseppe Verdi, 1870년, 이탈리아)
대본: Camile Du Locle (프랑스어)
원본: Auguste Mariette Bey 의 시나리오 (프랑스어)
번역: Antnio Ghislanzoni (이탈리아 어)
초연: 1871년 12월 24일, 이탈리아 오페라 극장, 카이로
연주시간: 제1막 34분, 제2막 40분, 제3막 32분, 제4막 42분
주요등장인물:
아이다 (Aida: 암네리스의 이디오피아인 여자 노예, 소프라노)
암네리스(Amneris: 이집트왕의 딸, 메조 소프라노)
라다메스(Radames: 이집트의 경비대장, 테너)
아모나스로(Amonasro: 이디오피아 왕, 아이다의 아버지. 바리톤 )
이집트 왕(베이스)
람피스(Ramfis: 고승, 베이스)
줄거리
제 1 막
[제1장 ㅣ 멤피스 왕궁의 대응접실]
이디오피아의 대군이 이집트 국경을 넘어 쳐들어 온다는 보고를 접하고 사제장 람피스는 이시스 신전에 가서 신탁으로 토벌군 총사령관의 이름을 받아 온다. 그 말을 들은 라다메스는 만약 자기가 총 사령관이 된다면 적을 무찌르고 그 공으로 아이다와의 결혼 허락을 받겠다고 사랑의 찬가 "청아한 아이다(Celeste Aida)"를 노래한다.
마침 그를 은근히 사모하는 공주 암네리스가 나타나, 공연히 당황해하는 라다메스를 보고 혹시 누군가 좋아하는 사람이 생기지 않았나 하고 의심한다. 이 때 공교롭게도 아이다의 주제 음악과 함께 아이다가 등장한다. 암네리스는 그녀가 라다메스를 사랑하고 있다고 짐작한다. 두 여인은 라다메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시중을 살피는 치열한 "3중창"을 전개한다
이어 이집트 국왕이 신하를 거느리고 나타나 이번 토벌군 총사령관은 이시스 신의 신탁으로 라다메스가 선발되었다고 발표한다. 암네리스가 이기고 돌아오라고 라다메스를 격려하면 모두가 일제히 화답한다. 얼마 뒤, 사람들이 다 가버리고 혼자 남은 아이다는 아버지의 나라인 이디오피아를 격퇴하려고 떠나는 연인을 전송하며, 조국에 대한 사랑과 연인을 향한 사모 사이에 낀 자신의 처지를 괴로워하는 아리아 "이기고 돌아오라(Ritorna Vincitor!)"를 부른다.
Arena di Verona
Verona Arena는 밀라노와 베네지아 중간지점에 위치한 베로나에 있는데 로마 시대에 세워진
야외 공연장으로 이런 건축물 가운데 가장 잘 보존된 것 중에 하나랍니다. 30,000 명 까지
받을 수 있다는데 여름마다 세계에 너무 잘 알려진 오페라 공연이 열리고 있읍니다.
몇년전에 갔을때 비교적 싼 자리에 앉었었는데도 음향이 괜찮았던 것으로 기억이 됩니다.
그날의 오페라는 Verdi의 Il Trovatore 였읍니다.

Verona Ar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