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명문대 교육혁명] (1) 미국 스탠퍼드대학

鶴山 徐 仁 2006. 7. 17. 13:25

 

21세기들어 세계각국은 대학개혁과 대학의 경쟁력 향상에 더욱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이 축적한 지식과 배출하는 인재들은 바로 사회의 잠재력이며 변화의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세계 명문대학들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나왔는지, 또 세계 명문대학들은 어떻게 미래를 준비하는지를 현지 취재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한다.

▲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스탠퍼드대학 전경. 팔로알토의 1031만평의 드넓은 부지 위에 에스파냐풍으로 지어진 각 대학 건물들이 아름다운 캠퍼스를 만들었다. 오른쪽 위편에 있는 탑이 세계적인 싱크탱크인 후버연구소의 자료서고로 쓰이는 ‘후버 타워’이다. 왼쪽 위에는 팔로알토 시내로 이어진 ‘팜 드라이브’가 보인다.
사진 제공 스탠퍼드대
|팔로알토(미국 캘리포니아주) 안동환특파원|2002년 캘리포니아공대(Caltech)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예레나 블코빅 전자공학과 조교수. 그녀의 연구실은 크리스마스에도 불이 꺼지지 않는다. 수년째 양자(quantum) 컴퓨터 개발 연구를 하는 블코빅 교수는 종신재직권(tenure·테뉴어) 심사를 앞둔 4년차이다. 그녀가 테뉴어 심사 대상이라는 걸 모두 알지만 쉬쉬한다. 같은 과 연구실의 젊은 교수들도 심사 대상이다. 그들은 하루하루가 전쟁이다.

스탠퍼드는 교수 사회에서 ‘조교수의 무덤’으로 통한다. 테뉴어를 주지 않기로 악명이 높은 탓이다. 사회학과는 지난 15년 동안 단 1명만 받았다. 스탠퍼드에서는 부교수가 아닌 조교수가 심사 대상이 된다.

스탠퍼드가 최근 5년 동안 채용한 교수는 565명. 종신교수가 되는 비율은 심사에 오른 10명 중 2∼3명꼴이다. 미 평균인 40∼50%보다 훨씬 가혹하다. 국내대학 교수들의 경우 과거보다는 다소 어려워졌지만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정년은 보장되는 편이다. 스탠퍼드 교수들은 국내 교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치열한 생존경쟁을 하는 셈이다.

지난 2002년 ‘자동정년 보장제도’를 폐지한 서울대도 고민이 깊다. 정운찬 서울대 총장은 “교수 질을 높이려고 정년 제도를 바꿨지만 정작 테뉴어 심사에 탈락한 교수들이 갈 데가 없어 머물고 있다.”면서 “느슨하게 뽑고 테뉴어 심사를 통해 가차없이 내치는 외국과 국내대학을 비교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치열한 테뉴어 경쟁은 젊은 교수들을 연구 업적에 매달리게 한다. 통상 3∼5년 안에 테뉴어를 받지 못한 교수는 ‘통지서’를 받는다. 일명 ‘방출 예고’다. 다른 대학이나 연구소를 알아보라는 편지이다.

테뉴어 심사는 5∼6단계에 걸쳐 1년 동안 진행된다. 외부 인사들이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다. 클린턴 대통령 시절 백악관 과학 자문역이었던 아서 비에넨스톡 연구 부총장은 “세계적인 수준의 교수라도 정년이 보장되면 연구에 소홀해진다. 정년 보장은 가혹할 정도로 엄격해야 탁월한 수준의 업적이 나온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스탠퍼드 출신들은 연구소보다 기업의 ‘러브콜’을 많이 받는다.‘예의바른’ 동부의 아이비리그 출신보다 ‘현장 적응력’이 뛰어나다는 인식 때문이다. 실리콘밸리의 한복판에 있는 스탠퍼드가 키워내는 건 그야말로 ‘시장이 알아주는 인재’이다.

샌프란시스코의 투자분석가인 이새론(24)씨. 그는 지난해 12월 스탠퍼드를 졸업했다. 그는 4학년 때 ‘메이필드 펠로십’이라는 기업가 과정을 이수했다. 투자 분석부터 개발전략까지 9개월 동안 MBA 수준의 단련을 받았다. 새론씨는 그 경험을 살려 실리콘밸리의 분석가로 일하고 있다.

학교 인프라로 학생들의 창업을 지원한다. 학내 기구인 ‘스탠퍼드 특허팀(OTL)’은 투자 유치부터 특허 등록까지 창업의 전 과정을 돕는다. 스탠퍼드는 세계적 검색엔진 업체인 구글의 특허 등 수많은 정보기술(IT)업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스탠퍼드 박사 과정에 있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도 1998년 OTL를 통해 구글을 창업했다.

‘더블E´(Electrical Engineering)로 불리는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는 실리콘밸리를 굴리는 두 ‘엔진’이다. 브루스 울리 전자공학과 학과장은 “매년 졸업하는 박사 70명과 석사 220명 대부분이 실리콘밸리로 간다.”면서 “이들 중 상당수는 5년 안에 회사를 창업한다.”고 말한다.

특히 미 IT산업엔 스탠퍼드 입김이 세다. 휼렛패커드(HP), 야후, 시스코, 선마이크로시스템스(SUN) 등 졸업생 기업들이 ‘스탠퍼드 기업가 네트워크’라는 거미줄 같은 정보망을 치고 있다. 울리 학과장은 “스탠퍼드 박사의 초봉은 11만달러(약 1억 1000만원), 석사는 8만달러(약 8000만원)로 업계 최고 대우를 받고 있다.”고 말한다.

인류 문명을 바꾼 인터넷도 이곳이 무대였다.‘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탠퍼드 빈튼 서프 교수가 1974년 만든 ‘TCP’ 프로토콜은 오늘날 인터넷 네트워크의 표준이다.

공대는 연구기금의 ‘첨병’이다. 종신교수가 되려면 연구기금 실적은 중요한 평가 사항이다. 개미처럼 기금을 긁어 모으든, 한방에 대박을 터트리든 기업과 강한 유대는 필수적이다.‘우리 기술로 어떻게 돈벌이를 할까.’ 스탠퍼드 공과대의 살아 숨쉬는 학풍이다.

스탠퍼드에서 태어난 실리콘밸리는 서로를 벤치마킹하는 관계이다. 데이비드 오렌스타인 공대 대외협력관은 “우리는 실리콘밸리를 제 2의 캠퍼스라고 부른다.”고 말한다. 새로운 트렌드는 스탠퍼드 강의실에 곧바로 영향을 미친다. 실리콘밸리의 업종이 IT에서 바이오(생명공학)로 변신하자 스탠퍼드는 2004년 생명공학과를 신설했다.‘Bio-X’라는 프로젝트도 설립, 이 분야의 연구 제휴와 기금 육성에 나섰다.

스탠퍼드는 미국 어느 종합대학도 하지 않는 새로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존 헤네시 총장은 지난 2000년 취임하자마자 학부 강화를 위한 ‘10억달러(약 1조원) 모금운동’을 첫 작품으로 내놓았다.5년만에 모금액이 채워졌다.

헤네시 총장은 “미국 어느 대학도 학부에 10억달러를 투자하려는 곳은 없다.”면서 “학부 강화는 스탠퍼드의 새로운 전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학교를 빛내줄 동문은 학부에서 나온다.”는 게 그의 지론. 막대한 기부금의 배경인 17만 4000여명의 동문파워도 크게 작용한 결과다.

학부 커리큘럼의 경쟁력은 학문의 융합을 꾀하는 ‘전공 디자인(IMD)’에 있다. 공부하길 원하는 여러 학문 분야를 통합시키는 학문의 ‘컨버전스(융합)’가 핵심이다. 교수가 책임지고 전공 디자인에 관여하고 1년에 2차례씩 평가가 이뤄진다.

스탠퍼드는 학생에게만 책임을 지우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학생과 교수 비율은 7대1.‘학생들의 실패’는 ‘지도교수’의 평가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휴학과 자퇴가 드문 이유이다.‘오너(honour·명예)코드’로 불리는 무감독 시험 전통을 고수하는 대학이다.

스탠퍼드에 한국학을 개설한 신기욱(아시아·태평양센터 소장) 교수는 “입학은 어렵지만 졸업은 스탠퍼드 시스템으로 보장되는 게 특징”이라고 말한다.

sunstory@seoul.co.kr

기사일자 : 2006-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