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노대통령,연말 경제총리 등 대폭 개각 검토

鶴山 徐 仁 2005. 10. 27. 17:44
[2005.10.27 17:10]  
“노대통령,연말 경제총리 등 대폭 개각 검토”…경제 전력 위한 ‘민생 개각’

‘정치 올인’ 이미지 털고 민심돌리기에 ‘올인’


[쿠키정치]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에서 10·26 재선거 완패에 따른 민심수습 차원으로 연말쯤 ‘경제총리’ 등 대폭적인 개각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노무현 대통령이 민심을 수습하고 민생을 챙긴다는 차원에서 연말쯤 대폭적인 ‘민생개각’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고위관계자도 “더이상 연정 등 정치얘기로는 추락한 대통령 지지도를 회복할 수 없다”면서 “내년 지방선거는 물론 정권재창출까지 염두에 둔다면 남은 방법은 경제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국민들에게 경제에 전력을 다한다는 다한다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서도 경제총리를 포함한 대폭적인 개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일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한 이병완 비서실장을 통해 “이번 재선거 결과를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고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나 “너무 확대해석하지 말아달라”며 “일부 언론의 보도처럼 당장 (여권의) 인적쇄신이라든지 정책기조 변경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그러나 “(인적쇄신이나 정책기조의 변경이)과정을 거치면서,이후 문제는 그 이후 논의될 것”이라고 말해 연말 개각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진 않았다.

노 대통령은 29일 청와대에서 문희상 의장을 비롯한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이해찬 총리 등 당·정·청 수뇌부 모임인 ‘12인회’를 소집,만찬을 함께하며 재선거 패배에 따른 수습대책 및 향후 국정운영 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만찬에서는 여권일각에서 증폭되고 있는 당 지도부 책임론,당·정·청 쇄신론 등과 함께 차기 대권 예비주자들의 조기복귀론을 포함한 대폭적인 개각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경제를 챙긴다는 차원에서 12월중 삼성,LG,현대차,SK 등 대기업 총수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 대표들과 자리를 함께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노 대통령과 대·중소기업 대표들과의 만남은 지난 5월16일 청와대에서 열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대책회의 이후 점검차원에서 검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 올인’이미지 털고 민생 집중…민심돌리기에 올인

여권이 민심 수습차원에서 연말을 전후해 경제총리 기용을 포함한 대폭 개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정말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와 경제를 분리해서 생각할 순 없지만 좀더 민생에 초점을 둠으로써 민심돌리기에 올인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노무현 대통령이 10·26 재선거 결과에 대해 아주 이례적으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인다고 말한 것은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다. 일단 민심을 겸허하게 수용하겠다는 뜻이지만 이면에는 현재의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여론을 반영한 것인 만큼 뭔가 변화를 추구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결국 당장은 아니더라도 어떤 식으로든 국정운영 기조를 바꿔 민심을 되돌리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민심을 수습할 수 있는 연말 '새판 짜기'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대연정 제안 이후 국민들의 눈에 단순히 '정치 올인'으로 보였던 이미지를 털어낼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국정운영 변화 가능성에 대해 "아직 예단하긴 이른 것 같다"면서 "당장 정책기조의 변경이랄지,어떤 인적 쇄신으로 보는 것은 좀 급하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나 "과정이 있지 않겠느냐"면서 "앞으로 과정을 거치면서 이후에 논의될 것"이라고 말해 뭔가 준비하고 있다는 분위기를 풍겼다.

따라서 내년 5월 지방선거를 고려할 때 적어도 연말이나 연초에는 국정운영에 있어 큰 변화를 시도할 것이고,이를 위해 대폭적인 개각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는 대연정 구상이 무산된 이후 노 대통령이 고심하고 있는 정치문화 혁신과도 맞물려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정치문화 혁신방안에 대해 계속 고심하고 있으며,연말쯤 새로운 화두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말 민주세력 대연합이나 소연정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결국 경제를 중심으로 민생을 챙기면서 정치문화 혁신도 이룰 수 있는 획기적인 대안을 구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대통령이 생각하는 미래 위기요인이나 정치문화 개선 등의 기저에는 근본적으로 민생이란 부분이 함축돼 있다"면서 "이런 대통령의 구상이 국민여론과 어떻게 좁혀질 수 있도록 하느냐가 과제"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29일 당·정·청 수뇌부 모임인 '12인회'를 처음으로 청와대에서 직접 소집한 것도 여권 내부의 결속을 다잡으면서 이런 연말 정국구상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해찬 총리에 대한 노 대통령 신임이 여전히 두텁고,이 총리가 주도적으로 추진중인 국민대통합연석회의 등을 감안할 때 경제총리까지 개각이 확대되진 않을 것이란 시각도 없지않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오종석 기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