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부터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 산정 방식을 바꾸자 서울 시내 주요 사립대의 취업률이 지난해보다 최고 20%포인트까지 낮게 나온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대학가에 따르면 교과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각 대학을 통해 ‘201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 연계 취업통계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울 소재 상위권 사립대 5곳의 졸업생 취업률이 지난해에 비해 7~20%포인트 가량 낮았다.
고려대의 졸업생 취업률은 지난해 74.3%였지만 올해는 64% 가량에 그쳤고, 한양대 또한 지난해보다 10여%포인트 낮은 60.8%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80% 가까운 취업률을 보였던 경희대는 올해 50%대 후반에 머물렀고, 동국대도 지난해 67.8%이던 취업률이 올해는 50%대를 밑돌았다.
성균관대는 지난해의 72.6%보다 7%포인트가량 낮은 65.1%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각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이 낮아진 것은 올해부터 취업률 산정 기준이 더 엄격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교과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해까지 ‘주당 18시간 이상 일하며 일정한 소득을 얻는 자’를 취업자로 정하고 각 대학이 자체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취업률 통계를 내왔으나 올해부터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기준으로 취업률을 계산한 자료를 제출토록 하고 있다.
대학들이 그간 단기계약직이나 일용직으로 일하고 있는 졸업생까지 취업자에 포함시켜 취업률을 부풀릴뿐 아니라 전화 조사를 통해 취업 실태를 파악해 자료의 정확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대학 관계자는 “사실 대학 입장에서는 취업률을 좀더 높여보고 싶은 유혹을 떨치기 어렵다”며 “그간의 불건전한 관행이 사라진다는 면에서 대학들도 새로운 산정 방식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털어놨다.
다른 대학 관계자도 “전화로 수 차례 취업 여부를 묻다 보면 압박감을 느낀 졸업생들이 거짓으로 ‘취업했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며 그간의 조사 결과에 일부 ‘거품’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해 취업률을 계산하는 방식이 실제 취업자들 일부를 누락시킨다는 항변도 있다.
고려대와 성균관대 관계자는 “기준이 바뀌면서 해외 취업자, 대기발령 중인 임용고시 합격자나 간호 계통 취업자들이 누락됐다”고 말했다.
동국대 관계자도 “성직자 등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직장에서 일하는 취업자들도 포함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각 대학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ㆍ검증한 뒤 10월 초 대학별 졸업생 취업률을 공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