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다양한 도우미

[스크랩] 美軍 바로 압시다

鶴山 徐 仁 2024. 5. 10. 21:00

美軍 바로 압시다

 강산 동진골 ・ 2023. 3. 25. 11:30


美軍 바로 압시다

《 자유민주 구국전사의 추천글 》

🌹우리가 세계 强國 6位란다.

부강한 國家되는 비결(秘訣)中 하나는, ‘가급적 많은 美軍의 장기주둔(駐屯), 美軍 주둔 세계 TOP5 國家 가운데, 한국을 뺀 나머지 네 나라(日本, 獨逸, 이탈리아, 英國)는 G7 멤버다.

해외주둔(駐屯) 美軍 규모가 큰 다섯 개 國家를 꼽으면 이렇다.

(2020년, U.S. Defense Manpower Data Center 집계)

美軍 주둔(駐屯)수를 살펴보면,

1위: 日本-5만 5165명

2위: 獨逸-3만 4674명

3위: 韓國-2만 6184명

4위: 이탈리아-1만 2353명

5위: 英國-9,394명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해외 주둔 美軍 병력(兵力)은 '주일 미군'(駐日 美軍)이다.

1945년 이후, 77년째 주둔(駐屯) 중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日本의 同盟이었던 獨逸과 이탈리아에 주둔하는 美軍은 각각 세계 2위와 4위의 규모로 역시 77년째 주둔 중이다.

주로 공군 전력(戰力)으로 이루어진 英國 주둔 美軍은 세계 5위 규모로 1950년 이후 72년째 주둔 중이다.

'주한 미군(駐韓 美軍)'은 세계 3위 규모로, 韓·美 상호 방위조약(1953.10.1.) 체결에 의거하여 주둔 중이다.

美軍 주둔 세계 TOP5 國家의 공통점은, 오늘날 모두가 부강한 國家로 손꼽힌다는 점이다.

우선, 日本, 獨逸, 이탈리아, 英國은 G7 멤버에 속한다.

GDP 규모는 日本이 세계 3위, 獨逸이 4위, 英國이 5위, 이탈리아가 8위로서 전부 상위권이다.

이 중 특히 日本은 2차 세계대전 당시 美軍으로부터 원자탄(原子彈) 두 발을 포함해 무차별 융단(絨緞) 폭격을 받아, 주요 都市들이 거의 잿더미가 된 상태에서 출발했다.

獨逸과 英國 역시 서로 공습(空襲)을 주고받으며, 국토가 많이 황폐화된 상태에서 출발했다.

韓國은 오늘날 선진국(先進國)으로 인정받는다.

GDP 규모로 세계 10위권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신생독립국(新生獨立國)출신으로 오늘날 선진국대열에 진입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일하다.

더구나 6·25로 인한 잿더미 상태에서 일어선 것이기에 더욱 극적이다.

日本, 獨逸, 韓國, 이탈리아, 英國이 오늘날 같은 존재감을 갖게 된 비결로는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겠지만, 이런 式으로 '많은 美軍의 장기 주둔(駐屯)'이라는 요소를 빼놓을 수가 없다.

냉전(冷戰)때 유럽을 향한 소련의 위협은 상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獨逸과 英國은 美軍의 전쟁 억지력(抑止力)에 힘입어 군비(軍費) 부담 없이 경제적 성장에 매진할 수 있었다.

만약 美軍이 없었다면, 獨逸, 英國, 이탈리아 등 유럽국가는 소련과의 군비경쟁(軍備競爭)에 직접 나설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경제 분야에 대한 투자는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극동지역에서 소련과 대치하던 日本 또한, 똑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韓國은 더욱 그렇다.

6·25 後에도 무력적화(武力赤化)에 매진하며, 中國을 등에 업고 틈을 노리는 北韓을, 만약 駐韓 美軍없이 韓國이 홀로 상대해야 했다면 ‘한강의 기적’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北韓의 무력도발에 홀로 노출된 韓國이라면, 外國人이 안심하고 韓國 땅에 자본을 투자하거나, 지사(支社)를 설립하고 공장을 세울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이처럼, 많은 美軍이 장기 주둔한 TOP5 國家 사례를 보면, 해당국들은 美軍의 주둔으로 安保와 經濟 측면에서 막대한 혜택을 누려왔고, 지금도 그 혜택을 누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美軍의 철수(撤收)는 100% 좋지 않은 결과로 귀결(歸結)될 게 뻔하며, 특히 개인의 人權이나, 自由, 權利등의 측면에서 더욱 그렇다.

베트남에서 美軍이 철수한 以後, 베트남 국민 상당수는 ‘보트피플’ 신세가 되었다.

필리핀의 경우, 美軍철수 以後로 中國의 위협에 홀로 맞서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가급적 많은 美軍이 장기 주둔하면 해당국은 흥(興)하고, 반대로 철수하면 비참한 신세로 떨어진다는 것이 이렇게 생생하게 증명되기 때문에, 요즘 아프가니스탄 주민들이 공포와 불안감에 휩싸이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베트남의 ‘보트 피플’같은 '탈(脫)아프가니스탄 사태'가 본격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행복(幸福)은 막상 그 당시에는 잘 모르는 법이다.

불행(不幸)이 닥치거나 한참 나중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때가 행복했다!"라며 후회하기 마련이다.

駐韓 美軍을 눈엣가시로 간주하며 오매불망(寤寐不忘) 철수를 갈망(渴望)하는 무리들이

韓國에 적지 않게 존재한다.

그리고 이런 무리에 동조(同調)하는 철부지들이 또한 적지 않다.

둘 중 하나일 것이다.

눈앞의 행복(幸福)도 못 알아보는 ‘바보’이거나, 사악한 北韓 정권에 동조하는 ‘김씨 족속의 주구(走狗)’이거나, 

어쩌면 둘 다 해당할지도 모르겠다.

美軍 바로 압시다

 

 

 

[출처] 美軍 바로 압시다|작성자 강산 동진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