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우리나라 畵壇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의 그림산책

鶴山 徐 仁 2012. 11. 15. 19:47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의 그림산책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 1843∼1897), 조선 화단의 거장으로 우리 근대 회화의 토대를 이루었으며, 호방한 필묵법과 정교한 묘사력으로 생기 넘친 작품들을 남겼다 장승업은 1843년 중인가문으로 생각되는 대원(大元) 장(張)씨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 부모를 잃고 이응헌(李應憲)의 집에서 더부살이를 하게 되었다. 이응헌은 추사 김정희의 제자인 이상적(李尙迪)의 사위이며, 중국 청나라를 왕래하던 역관(譯官)으로서 그림을 좋아하여 많은 그림을 수집하였다. 장승업은 그림이 가득 찬 이응헌의 집에서 어깨 너머로 화가나 수장가들의 그림감상을 눈여겨보다 어느날 우연히 붓으로 흉내를 내보았는데 신기하게도 저절로 그림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장승업의 그림에 대한 재능은 주인 이응헌의 눈에 띄었고, 그로부터 그림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림에 전념한 장승업은 놀라운 기량과 넘치는 신운(神韻), 그리고 왕성한 창작력 때문에 금새 놀라운 명성을 얻었다. 장승업은 마치 전생(前生)에 화가였던 듯 샘솟듯 넘쳐나는 영감(靈感)을 기운 넘치는 필력(筆力)으로 쏟아내었으며 당시 화단(畵壇)의 총아가 되었다. 그의 명성은 궁중에까지 알려져 고종(高宗)의 어명 (御命)에 의해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장승업은 일체의 세속적인 관습에 구애받지 않으려 했다. 그에게는 오직 예술과 예술의 영감을 북돋아주는 술뿐이었다. 그는 그림을 구하는 사람들의 사랑방과 술집을 전전하며 뜬구름 같은 일생을 보내다 1897년 광무(光武) 원년(元年) 생을 마쳤다고 한다. 그러나 아무도 장승업이 어디서 어떻게 생을 마감했는지 모른다. 그의 뜬구름 같은 생애와 수수께끼 같은 죽음은 일체의 세속적인 것을 거부했던 진정한 예술가의 삶의 한 전형(典型)이라고 할 수 있다.(계수나무제공)

 

조선시대의 수많은 빼어난 화가들 중에서도 3대 화가, 혹은 4대 화가 중의 한사람으로 꼽히는 사람이다. 3대 화가라면 안견(安堅), 김홍도(金弘道)와 장승업을, 4대 화가라면 정선(鄭敾)을 추가하여 일컫는다. 그리고 장승업은 이들 중에서도 가장 현대와 시대적으로 가까운 19세기 후반을 살다간 인물이다.

 

위에서든 화가들을 3대 화가, 혹은 4대 화가로 지칭하는 이유는 그들이 남긴 거대한 예술적 업적과 영향력 때문이다. 조선 초기 세종(世宗) 연간의 찬란한 문화 중 회화 예술을 대표하는 안견, 조선 후기 영조(英祖)·정조대(正祖代) 문예부흥이의 회화 예술을 대표하는 김홍도와 정선은 제각기 우리 회화 사에서 크나큰 업적을 남겼다. 안견은 조선 초기를 풍미한 소위 안견파 화풍의 창시자로서 그의 영향은 일본 무로마치 시대 수묵화에까지 미쳤다. 조선 후기의 김홍도는 당시의 사실주의적이고 진취적인 국가 기상을 반영하는 건강하고 화려하며 다양한 회화적 업적을 남겼다. 조선 후기 회화사의 주요한 업적으로 꼽히는 진경산수화를 대성한 정선도 기세가 넘치는 필법으로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담아 오늘까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원한 감동을 느끼게 해준다.오원 장승업은 시기적으로 이들 대가들 중 현대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활약한 화가이다.

 

그는 조선 왕조가 500년의 긴 역사를 타의에 의해 마감해 가는 암울한 시대를 살았다. 당시 조선 왕조는 내부의 모순도 있었지만 그 보다는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적 침략 근성을 배운 일본과 시대적 추세를 거스른 완고한 청나라, 그리고 러시아의 열강의 침략 속에서, 내부 개혁의 의지를 완성시키지 못하고 비극적으로 몰락해 갔다. 그러나 조선왕조는 500년을 지속한 문화대국(文化大國)답게 내부적으로는 풍부한 문화적 토양을 갖고 있었으니, 장승업의 회화는 바로 그런 문화대국 조선왕조가 마지막으로 빛을 발하듯이 배출한 천재화가이다. 장승업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대화가(大畵家)로서 그는 전통화법을 단순히 종합했던 것이 아니라 그 단점(短點)을 극복하였다.

 

당시 조선시대 말기(末期)의 화단은 형식화된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 지상주의로 말미암아 활력을 상실한 상태였다. 장승업은 잊혀졌던 북종화법(北宗畵法)을 골고루 탐색하였고, 화보가 아닌 실제 동식물을 예리하게 관찰하였다. 그리고 또 당시 새로 수입된 최신 유행의 중국화법도 참작하여 자기 것으로 소화해 내었다. 둘째, 장승업은 산수화(山水畵), 인물화(人物畵), 화조영모화(花鳥翎毛畵), 기명절지화(器皿折枝畵 - 여러 가지 그릇붙이와 화초의 가지를 섞어서 그린 그림) 등 여러 분야에서 당대(當代)를 대표하는 양식을 확립하여 후대의 커다란 모범이 되었으며, 그가 그린 다양한 작품들은 당대 및 후대의 전형이 되었다. 

 

 

산수화에서는 수많은 전통적 양식을 절충하여 동양적 이상향의 모습을 가장 아름답게 표현하였고, 인물화에서는 진정한 초월적 인간상을 그려내었다. 또 화조영모화에서는 다양한 소재를 기운 생동하는 필묵법으로 소화해 내었으며, 기명절지도라는 독특한 장르를 창출해 내기도 했다. 그의 신운이 넘치는 작품세계는 암울했던 19세기 후반에 있어서 시대를 밝히는 찬란한 예술혼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화가 장승업의 업적 중 어떤 의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순수한 예술정신의 구현에 있다. 장승업은 예술을 향한 순수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예술안(藝術眼) 앞에는 왕이나 부자가 따로 없었다. 그의 생애는 미(美)를 위한 구도자의 길이었으며, 세속적인 면에서는 실패했으나 진정한 예술의 면에서 오히려 영원한 생명을 얻었던 것이다. 넷째, 장승업은 현대에 있어서도 진정한 예술가가 걸어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예술은 물질적 부(富)와 세속적 권위에 얽매여서는 안된다는 점, 또 일상적인 행복과 나태에 빠져서도 안된다는 점이다. 또한 장승업의 생애와 예술은 서구적 가치관이 판을 치고 서양 미술사조가 무분별하게 수입되는 현대에 있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즉 투철한 예술혼이 없는 외형적 양식 추구가 과연 진정한 예술이 될 수 있을까 예술가의 인생 자체와 융합되지 않은 예술이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을까라는 문제 제기에 대한 해답을 바로 장승업 자신의 생애와 작품으로써 해 주고 있는 것이다.

 

오원 장승업의 회화적 업적은 누구도 무시하지 못하지만 중국적인 소재를 많이 다룬 점, 그리고 새로운 시대에 대한 안목이 작품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오해 등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문학, 예술 전반의 소재는 대부분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었으며, 또한 진정한 예술가의 성취에서 꼭 시사적인 성격이 가미된 정치와 철학의 풍모가 있어야만 하는가? 오히려 가장 최고의 예술에서 사람들이 바라는 것은 바로 모든 현세적인 것을 초월한 진정한 아름다움 그 자체가 아닐까? 오원 장승업은 바로 그런 진정한 동양 예술정신의 진수를 체득한 화가였다. 그리고 진정한 프로정신으로 자신을 연마하여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기량과 넘치는 신운(神韻)으로 19세기 동아시아 회화사상 불후의 업적을 남겼다. 더구나 그가 활동했던 시대는 당시 조선인에게는 암울하기 짝이 없었으며, 그런 속에서 피어난 예술이기에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이었다.

 

모든 진정한 예술가가 그렇듯이 장승업도 금새 당시 예술계의 총아가 되었으며, 위로는 고종 황제와 엘리트 지배관료로부터 아래로는 지방의 이름 없는 부호에 이르기까지 기꺼이 그의 후원자가 되고자 했다. 그래서 궁중에서 그림을 그려 바치라는 임금의 어명을 여러 차례 어기는 기행(奇行)에 조차 면죄부를 준 것은 세속을 초월한 진정한 예술 혼의 덕분이었다. 장승업이 당대를 오불관언(吾不關焉)하고 오직 술과 예술 속에 살다가 뜬구름처럼 간 것은 어쩌면 무너져 가는 조선왕조와 당시대인에 대한 치열한 무언(無言)의 거부였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1897년 무너지기 직전의 조선왕조가 형식적 독립을 선포하는 광무원년(光武元年) 홀연히 세상을 버렸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오원 장승업의 회화는 아직 상당수가 남아 진정한 예술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웅변하고 있다. 그래서 서구 미술이념이 지배하는 현대 한국, 동양의 풍토에서 진정한 전통을 되살리는 길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희곡창작워크숍 대표 박정기(朴精機) 

[국악]늦가을(대금, 합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