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스크랩] 고구려 - 고조선과 부여를 연결한다.

鶴山 徐 仁 2005. 7. 31. 11:56

고구려는 고조선과 부여를 연결하는 고리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고대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일연(一然)의 「삼국유사」를 통해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발해를 조망하는 학술대회가 3일 경북 군위군청에서 열려 관심을 모았다.

 

   일연학연구원(원장 상인 스님.常仁.인각사 주지)이 '삼국유사 체제에 보이는 고대사 인식'을 주제로 한 이날 세미나에는 고구려 연구재단 김현숙 연구위원을 비롯해 고조선과 부여.발해 등 한반도 고대사 전문가들이 참석해 각각 주제를 발표했다.

 

  김현숙 연구위원은 '삼국사기 내 주몽(朱蒙)의 출자기사(出自記事)를 통해 본국가 계승의식'이라는 논문에서 "고구려는 고조선과 '부여(夫餘)' 및 마한을 계승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기록은 고구려가 고조선과 부여를 연결하는 고리이자 마한을 통해 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며 한국사로 계승된 것을 보여주는 증거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선사는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버지로 알려진 해모수를 단군(檀君)과 동일 인물로 보고 단군과 주몽을 연결한 기사를 주석의 형태로 적은 만큼 단군조선을 승계한 나라가 곧 고구려라고 보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김 연구위원은 이 주장의 근거로 4-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각저총과장천1호분 등 고구려 고분의 벽화에 곰(熊.단군신화)과 관련된 그림이 많은 것과 중국 사서에 고구려인들이 주몽과 유화부인, 곰을 숭배했다는 기록을 제시했다.

 

   박진숙 충남대 교수는 '일연의 발해사 인식과 삼국유사'를 통해 "일연선사가 발해와 관련한 서술에서「신라고기(新羅古記)」등의 내용을 적극 인용한 것은 중국 사서에 보이지 않는 내용을 증거로 내세우면서 고구려 역사계승의식을 최대한 객관화시키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어 "고려말 발해사에 대한 인식은 원(元)의 외압을 받고 있는 고려의 입장에서 발해의 존재를 고조선과 함께 민족의식을 고양하는데 매우 유효한 역사대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며 이 점에서 발해사는 고조선사와 마찬가지로 고려 후기 북방인식의 확대를 통해 역사의식의 전환을 목표로 했던 국사의 일부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일연학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중국의 고구려.발해사 왜곡은 과거사 왜곡의 전형이라고 볼 만큼 논리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학문적으로 고구려사가 한국사라는 근거를 찾아 논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용처:동아일보 2004.9.3)


 
가져온 곳: [북경이야기(北京故事)]  글쓴이: 지우 바로 가기